수강후기

기초장비 항타 및 항발기 안전관리

특성화 과정 (안전관리 전문) _ 원격28h+집체7h 작성자 최*성 작성일 2023-09-26 조회수 1161

1. 항타 및 항발기 사고 발생 원인

 1) 위험도 높음 : 천공 작업시 낙하, 전도가 빈번히 발생하는 장비로 고위험 장비에 대하여 포함되며 등록 대수당 사고율이 가장 높은

   장비임

 2) 활용도 높음 : 건축, 토목 기초공사 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장비임.

 3) 안전성 취약 : 전량 수입하여 안전성 평가 없이 임의 개조 사용으로 사고 위험이 가장 높은 수준임

2. 항타 항발기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1) 도급인 안전, 보건조치 의무사항(합동점검) : 타워크레인, 항타 및 항발기, 건설용 리프트

 2) 설치 작동 또는 설치 해체, 조립 작업 시작 전

 3) 합동점검 : 사용자 + 대여자(임대업자)

 4) 합동 안전점검 내용

   - 작업 수행 사업주의 작업계획서 작성 및 이행여부 확인 : 기계 대여자와 합동 안전점검 실시

   - 작업자의 자격. 면허. 경험 또는 기능 보유 여부 확인(법제140조)

   - 기계. 기구 또는 설비 등에 대한 안전보건조치 여부

   - 기계 결함, 작업방법 절차 미준구 여부, 작업 위험 예상시 작업중지 조치(제94조)

 5) 위반시 3년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 쌍벌죄(사용자 + 대여자(임대업자)

3. 건설기계 조종사 운전자격 확인 사항

 1) 적성검사 여부 확인

 2) 조종사 안전교육 이수 여부 확인 : 안전교육 기간 매3년 주기 이수

4. 항타기 사고원인 : 지내력 수평 불량, 중량 및 리더 길이 초과, 파일 끌기 작업, 불량로프와 샤클, 아우트리거 미사용, 장비 노후화

   풍속 10m/s 이상 작업 중지

5. 항타기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검검사항

 1) 연약지반 걷어내고 견고층 위에 30~50cm 골재깔고 수펑다짐

 2) 철판 간극없이 설치 : 130톤 이상 25mm 이상, 160톤 이상 35mm 이상, 180톤 40mm 이상

 3) 항타기 오거 중량 + 해머 중량 등에 맞게 리더길이 적정여부 확인

 4) 오거 스크류와 케이싱 인발시 반드시 아우트리거 사용

 5) 장비 점검 : 트랙 확장, 리더 가이드 요크 마모 상태 드롭해머 연결상태 확인

 6) 파일 인양 와이어 걸기 방법은 적정한가

 7) 보조 크레인은 용량에 맞게 준비되었는가

 8) 작업계획서(근로자), 작업지휘자, 신호수배치, 풍속 10m 이상 작업 중지

 9) 와이어 로프 손상, 여부 점검 등 이상유무를 확인하였는가

 10) 등록증, 운전면허증, 교육이수, 중장비 안전보험, 블랙박스

6. 지게차 사고발생 유형 : 부딪힘, 넘어짐, 깔림, 오조작, 떨어짐

7. 운반하역 지게차 안전관리

 1) 지게차 좌 우 전도 사고원인 : 과속 운전, 평지에서 급회전 운전, 경사지에서 선회 운전, 지면이 불균형한 작업장에서 운전

 2) 지게차 전방 전도 사고원인 : 화물 과적재, 급 브레이크 사용, 적재상태에서 틸트를 사용하지 않을때

문의전화

02-816-1311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공휴일 및 주말휴무
예금주 : 스마트건설교육원
은행명 : 국민은행
계좌번호 : 477401-01-25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