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건설분야 임무특화 드론

드론전문과정(스-2) _ 원격28h+집체7h* 작성자 이*우 작성일 2025-05-06 조회수 7

1. 건설임무 특화드론의 특징

1) 건설드론 임무의 특징

 -설계시공 단계: 사업부지 측량, 사업부지 주변 분석

 -건설관리 단계: 공정관리, 공사비산출

 -품질관리 단계: 안전관리, 안전진단

2) 드론 운용시 방해되는 위험요소: 전파방해, 장애물, 예측이 어려운 상황

3) 동일한 영역애서 얻어지는 데이터는 요구하는 자료에 따라 달라진다

 -모델링영상, Ortho Photo, DSN/DEM, INDEX지도

4) 건설 업무에 특화된 임무수행을 위한 요구되는 드론사양

 -장비의 경량화, 다양한 안전장치, 높은 비행안정

5) 현재 운용되는 브렌드별 산업용 드론과 장비들

 -RGB카메라, 고배율 줌 카메라, Lidar 센서, 열화상 카메라 등에서 얻은 데이터 사례

2. 드론비행의 이해

1) 드론비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4춛 프로펠러의 구동 원리에 따른 상승, 하강, 좌, 우,

   전진, 후진 방향과 장비의 기본구성

2) 드론에 있어서 비행 소프트웨어는 임무비행을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이를 제어하는 비행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자동비행, 정보확인, 블렉박스, 기체세팅

3) 드론조종기의 기본조종법

4) 현재 사용되는 배행 소프트웨어의 각각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조종화면의 구성

3. 현장비향을 위한 바행계획 수립

   현장에서의 비행프로세스와 각각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

   1차 비행계획->사전비행->1차후처리->2차 정밀비행계획->정밀비행->후처리

1) 1차 비행계획 수립

 -비행지역 확인(구글어스), 비행승인 신청, 촬영승인, 고고도비핼계확수립

2) 사전비행(대략적인 매핑)

 -3D매핑비행, 고고도비행(150m), 비행 하면서 장애물 확인

3) 1차 후처리

 -항공지도 생성, 정밀비행영역 추출, 2D모델링영역 추출, DSM추출

4) 2차 정밀비행계획(자동/수동비행계획)

 -정밀비행계획수립, 3D비행계획수립, 적절한 고도 설정

5) 정밀비행(수동비행)

 -3D매핑비행, 3D모데델링비행, 정밀수동비행

6) 후처리

 -3D모델링, 2D평면제작->추가적인 데이터 생성

4. 현장비행 실습 맵핑비행과 모델링비행

1) 목적에 맞는 비행을 히기 위해 사전에 어떤 비행을 할 것인지 충분한 계획 후에

   현장비행을 진행

2) 건설현장에서의 드론촬영 거리에 따른 구분

 -일반시설물촬영(수동비행): 5-20m 거리에서 촬영, 일반사진, 열화상사진

 -항공지도제작촬영(자동 및 수동비행): 50-100m 촬영, 매핑촬영

 -근접촬영(수동비행, Tripod비행): 1-2m 거리에서 촬영, 세밀한 부분 확인

3) 자동비행프로그램의 대표적인 기능(pix4d capture, DJI Pilot)

 -지정경로비행 및 자동 사진촬영

 -비행계획을 송쉽게 수정 가능

 -비행 중 현장에 대한 분석 가능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S/W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문의전화

02-816-1311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공휴일 및 주말휴무
예금주 : 스마트건설교육원
은행명 : 국민은행
계좌번호 : 477401-01-250009